반응형
참고한 IT기사
우크라이나 돕는 머스크 '스타링크'...15,000대 지원
송신탑 파괴, 뉴스 앱 차단...'정보 전쟁'으로 번진 우크라이나 침공
초고속 우주 인터넷 시대...머스크도 생각 못했던 복병은? - BBC News 코리아
우크라 전쟁에서 진가 드러난 '우주인터넷'...한국은 언제나?[과학을읽다]
개념
인터넷 위성군 : 저고도에 대규모의 인터넷 위성을 띄워서 전 세계에 인터넷 연결을 제공하는 것
- 기존 위성 통신망 및 광케이블의 단점 개선
- 유선인터넷과 그레 기반한 무선 통신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구상
작동원리
- 여러 개의 소형 위성을 쌓아 우주 발사체에 실어 발사한 뒤 지구 궤도에 차례로 전개
- 각 위성은 주변의 가까운 위성 5기와 레이저 신호를 통해 연결되며 이정한 궤도상에서 공전
- 지상국과 궤도상의 스타링크 위성은 광속 전파로 연결
- 각 위성은 하나의 노드가 되고 런던~샌프란시스코를 연결하는 우주 인터넷망 경로 중 실시간으로 신호가 가장 강하고 속도가 빠른 경로를 찾아 자동 연결
⇒ 땅을 파고 선을 묻는 공사 불가능 → 하늘에 위성
→ 위성 너무 높으면 비싸고 느림 → 저궤도
→ 위성 커버 불가능
→ 전 지구를 커버할 수 있을 정도로 위성을 많이 발사해 해결
장점
- 기후, 지형 환경에 영향받지 X
- 초당 1기가비트 이상의 속도로 지상보다 200배 이상 빠른 전송 속도
- 보안이 철저해, 지상망보다 해킹으로부터 자유롭고 안전한 정보 전송 가능
활용방안
우크라이나 전쟁 → 스타링크를 활용해 인터넷망 이용
러시아군의 통신시설 파괴로 인해 우크라이나 통신망 마비
지상의 인터넷망이 파괴, 고장나더라도 우주에서 아무런 방해없이 위성을 통해 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
- 군사용
- 정창 드론, 고립된 우크라이나군과 연락
- 민간용
- 러시아군의 분산서비스거부(DDOS) 공격과 시설 파괴로 지상 인터넷 마비 → ‘가짜뉴스’를 동원한 선전 선동 →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다면 ‘가짜뉴스'에 선동당하지 않는다.
재난 극복 효과
- 미국 서부 산불 → 빠른 응답 속도로 산불 진화에 도움을 주었음
- 통가 해저 화산 폭발 → 인터넷 해저케이블이 두절되어 뉴스보도나 재난구호에 필요한 최소한의 통신도 어려움 겪고 있을 때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음
아프리카에서도 인터넷 사용 가능
전세계 2/3 지역은 여전히 인터넷 오지
- 아프리카, 남아메리카 밀림, 외딴 섬, 산악지대, 사막, 극지대 등
⇒ 지리적 위치나 환경, 기후에 관계없이 언제 어디에서나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음
주식, 가상화폐 거래의 이득
주식 같은 경우, 가격 변동이 발생할 때에 큰 시세차익을 차지하기 위해서 속도가 빠른 우주통신망 사용
통신 시간이 빠를수록 이익이 커진다.
개발도상국의 정보격차 완화
기반시설이 부족한 후진국의 경우 현대에도 많은 사람들이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없음
다양한 기업
- 스페이스X : ‘스타링크’
- 아마존 : ‘카이퍼’
- 영국 민간업체 : ‘원웹’
예상되는 어려움
- 우주 쓰레기
- 이용자 수, 인구밀도에 따른 대역폭 문제
- 해당 위성과 연결 중인 사용자 모두가 나눠 쓰게 되면, 속도가 느려진다
- 일정한 면적 내에서 한정된 이용자만이 서비스 이용가능
- 혼잡해진 저궤도
- 저궤도 인공위성이 늘면서 천체 관측을 방해하고 있음
- 저궤도의 위성이 간신히 충돌을 면하고 있는 상황
반응형
'공부 > IT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IT기사 스크랩] 핀테크(FinTech) (0) | 2022.06.15 |
---|---|
[IT기사 스크랩] 딥페이크 (0) | 2022.06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