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개념
https://investments.miraeasset.com/assets/file/11_theme10.pdf
핀테크(FinTech)는 Finance(금융)와 Technology(기술)의 합성어로, 금융과 IT의 융합을 통한 금융서비스 및 산업의 변화를 통칭
새로운 IT기술과의 활용을 통해 새로운 금융서비스를 제공한다.
- 모바일뱅킹
- 앱카드
- 애플페이, 알리페이, 삼성페이, 카카오페이
위의 사례들은 금융회사를 통한 거래가 아닌 IT업체를 통한 거래이다.
즉, 금융과 IT가 결합하여 새로운 금융서비스를 모바일·인터넷 환경에서 창 출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.
현제는 핀테크에서 테크핀으로 넘어가는 추세이다.
장점
- 금융회사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중간수수료 없음
- 간편하게 사용가능
- 결제 통신망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카드 단말기, 결제 회선, 회선 이용료 등의 부담 없음
- 공인인증서 불필요
핵심 기술
- 분산원장 및 블록체인 기술
- 은행의 중앙 서버가 아니라 거래정보를 P2P 네트워크에 분산해서 참가자가 공동으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기술
- 다수의 참여자가 기록을 보관하여 거래마다 이를 공동 검증, 갱신하는 방식이다
- 빅데이터
- 인공지능
- 바이오 인증
- 지문인식, 홍채인식 등 다양한 생체인증 방식을 사용하여 인증
활용
- 간편결제, 송금
- 스마트폰을 이용해 QR코드나 애플리케이션으로 송금 또는 결제 서비스를 이용 할 수 있으며, 공인인증서를 이용하는 복잡한 인증 절차 없이 이체 비밀번호 또는 지문인식, 홍채인식, 얼굴인식과 같은 바이오 인증으로 빠르고 간단하게 처리한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.
- Toss, 카카오페이, 네이버페이, PAYCO
- 아마존페이, 애플페이, 삼성페이
- 신용카드 정보를 모바일 기기에 저장한 후 사용하는 방식
- P2P금융 (크라우드 펀딩)
- Peer To Peer finance
- 은행을 대신하여 기술력을 가진 회사들이 투자자와 대출자를 중개해주는 것
- AI투자
- 마이데이터
- 신용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소비패턴을 분석해서 개인의 신용 및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
- 마이데이터 서비스의 기본적인 기능은 여러 금융회사에 흩어져 있는 본인 데이터의 통합조회
- 인슈어테크
- 보험(Insurance) + 기술(Technology)를 합친 말
- 음성봇(AI기반 채팅로봇)을 도입해서 실시간으로 고객을 응대
- 인터넷 뱅킹
- 오프라인 점포 없이 모든 금융서비스를 인터넷 온라인 상에서 제공
- 임대료 및 인건비 절약으로 고객에게 낮은 대출금리나 저렴한 수수료 적용 가능
- 카카오뱅크, 케이뱅크, Toss
문제점
상담 신청했더니 내 정보가 보험 설계사에게?...토스 보험 논란
- 보안
- 토스와 같이 기업이 개인 정보를 판매하거나, 해킹을 통해 개인 정보가 유출되기 쉽다.
- 결제와 관련된 모든 정보들이 모바일 기기나 컴퓨터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해킹으로 인한 금전적인 피해를 입을 수 있다.
- 진입요건 완화로 인한 거래의 불안정성
- 상대적으로 기업의 금융시장 진입이 쉬워지면서, 사기 가능성이 늘어난다.
- 금융소외계층의 확대
- 전자금융사고
- 전자상거래로 인한 새로운 유형의 소비자 분쟁
해결방안
[핀테크 칼럼]핀테크 산업 양극화, 이제는 대안 마련해야 할 때
- 금융사와 핀테크의 협력방안이 필요한 시점
- 정부차원에서 기술인력 지원
- 금융과 비금융의 융합 추진
-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서 해킹으로부터 안전한 보안기술 개발
반응형
'공부 > IT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IT기사 스크랩] 우주인터넷 (0) | 2022.06.17 |
---|---|
[IT기사 스크랩] 딥페이크 (0) | 2022.06.12 |